경제 상식 알아보기/보조지표

[보조지표] ADR(Advance Deline Ratio) 등락비율에 대해 알아보자

안전해외선물 2025. 2. 22. 11:32

안녕하세요~ 안전해외선물 강실장입니다.

 

이번 시간은 보조지표 중 하나인 'ADR 등락비율'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ADR(Advance Deline Ratio)등락비율 이란????

 

 

일반적으로 20거래일 동안 상승종목 누계를 하락 종목 누계로 나눈 백분율로 표시하며 

 

증권시장 내의 매수세력과 매도세력의 크기를 지표로 쓰이고 있다. 시장 전체적인 모멘텀을

 

파악하기 좋은 지표이고, 이는 매수 또는 매도 세력 중 어느 방향이 더 힘이 강한지를 등락

 

종목의 비율을 활용하여 시장을 분석한는 접근법이라 할 수 있다. 

 

ADR이 100%인 경우는 상승종목수와 하락종소무가 균형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ADR이 75% 이하면 바닥권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ADR 등락 종목의 누계치가 아닌 등락

 

종목을 비율로서 시장을 분석한다. 지수가 상승하더라도 하락 종목수가 상승종목보다 

 

많다면 지수의 상승 압력이 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ADR 계산 공식

 

ADR = 상승 종목 / 하락 종목 X 100

 

7일선 ADR = 최근 7일 ADR의 합 /7

 

 

ADR 전략 및 참고사항

 

● ADR이 125% 이상인 경우는 경계를 요하는 시점이고 시세는 이후 반락하는 경우가 있다.

 

● ADR이 75% 이하일 경우는 시세의 바닥권을 의미하고 시장은 상승 전환 할 수 있다.

 

● 위의 수치는 확율적인 관점이며, 시장 별로 다를 수 있다.

 

● ADR의 고점은 지수 고점보다 선행하는 경우가 많다.

 

ADR은 주로 천정권을 예측하는 기능보다 저가권을 발견하는 기능이 뛰어난 것으로 널리

 

알려져있다.

 


 

항상 안전 투자하시고 먹튀 걱정없는 해외선물 문의 있으시면 

 

밑에 사진 클릭시 상담 연결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