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생상품의 결제 방식 '실물인수도' 와 '현금결제방식' 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안전해외선물 강실장입니다.
이번 시간은 파생상품의 결제 방식 중 하나인 '실물인수도' 와 '현금결제방식' 에 대해
비교 해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실물인수도 방식(Physical Delivery)

● 개념
- 만기일에 해당 파생상품의 기초자산(원유, 금, 곡물 등 실물 자산)을 실제로 주고 받는 방식이다.
- 매수자는 기초자산을 인수하고, 매도자는 이를 인도해야 한다.
● 특징
- 실제 상품(물리적 자산)의 이동이 있음
- 선물계약에서 많이 사용(특히 상품선물 : 원유, 옥수수, 금 등)
- 선물 거래소가 인수도 프로세스를 중개
● 예시
- 원유 선물 계약(WTI Crude Oil Futures)의 만기일이 도래하면, 실물 인수가 발생
▷ 매도자는 쿠싱(Cushing, OK)의 지정 저장소로 원류를 인도
▷ 매수자는 그 원유를 물리적으로 받거나 인수 권리를 가짐
● 유의사항
- 실물 인수도 의무를 피하려면 만기 전에 포지션 청산 필요
- 일반 개인 투자자는 실물 인수도가 번거로우므로 만기 전에 청산함
현금결제 방식(Cash Settlement)

● 개념
- 만기일에 기초자산의 실제 인수 없이, 계약 당시 가격과 만기 시점의 기초자산 가격 차이만큼의 차익을 현금으로 정산하는 방식이다.
● 특징
- 실물 자산의 이전 없이, 현금만 오간다.
- 지수선물, 통화선물, 금리선물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됨
- 개인 및 기관 모두 선호 → 간편하고, 물류 문제가 없음
● 예시
- 코스피200 선물
▷ 만기일 기준으로 코스피200 지수가 300이었고, 내가 매수 포지션을 290에 진입했을 경우, 차익인 (300-290) x 계약 승수만큼 현금 수령한다.
비교 요약 표

어떤 방식이 더 유리한가???
● 일반 개인 투자자
- 대부분 현금 결제 방식을 선호(간편하고 실물 부담 없음)
● 기관 투자자 / 헤지 목적 거래자
- 실물인수도 방식을 활용하여 실제 원자재 수급 조절 가능
● 단기 매매자
- 어차피 만기 전에 청산하기 때문에 실물 / 현금 방식은 영향이 거의 없다.
- 단, WTI 원유 선물처럼 실물 인수도가 있는 상품은 만기 주의 필요하다.
항상 안전 투자하시고 먹튀 걱정없는 해외선물 문의 있으시면
밑에 사진 클릭시 상담 연결 가능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