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폭락 글로벌 증시... 장기 경기 침체 암시
5일(현지시간) 전세계 증권시장에서 일체히 투매가 발생하는 등 최근 3주간
글로벌 증시에서 모두 6조 4천억 달러(약 8천760조 원)가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자들은 이번 대폭락이 장시 침체의 서막을 알리는 신호탄일 수도 있다고
예상하고 있다.
반면, 시장 분석가들은 여전히 미국 경제가 대부분 지표에서 견조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만큼 경기침체 우려보다는 시장 내부의 문제인 만큼 패닉에 빠질
필요는 없다고 강조하였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날 일본 닛케이 지수와 한국의 코스피 지수가 각각
12%와 9% 급락한 데 이어 미국 증시가 개장하자마자 급락세로 출발해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2.60% 내리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와 나스닥지수도
각각 -3.00%, -3.43% 떨어졌다.
이날 다우지수와 S&P500 지수는 2022년 9월 13일 이후 약 2년 만에 가장 큰 낙폭을
기록하였다.
개발도상국 증시도 동반 급락해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신흥국지수도
이날 4.2% 하락, 2022년 2월 이후 최악의 하루를 보냈다. 이는 최근 수년간 글로벌
금융시장 상승 랠리를 지지해 온 핵심 가정이 흔들리고 잇기 때문이다.
전 세계 투자자들은 그 동안 미 경제가 지속해서 성장하고, 인공지능(AI)으로 모든
상업 분야에서 빠르게 혁신이 일어나며 일본이 금리 인상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미국 7월 고용시장이 둔화하고 빅테크의 AI 실적 역시 부진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일본 중앙은행은 올해 들어 두 번째 금리 인상을 단행하면서 그 같은
신화가 꺠졌다는 게 블룸버그의 분석이다.
투자자들은 이에 따라 2년도 채 되지않는 기간 AI대장주 엔비디아가 1천 100%
상승한 것이나 일본에서 자금을 빌려 멕시코에서 11% 수익률을 지급하는 자산에
투자하는 이른바 '캐리 트레이드'가 위험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됐다는 것이다.
특히 지난달 초 기술주가 정점을 찍을 무렵 투자자들은 일본은행이 다른 중앙은행
과 함께 통화부양책을 철회할 것으로 예상되자 엔화가 급격히 절상되기 시작했으며
이는 '캐리 트레이드' 청산으로 이어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차입금 회수에 따른 매도
압력을 촉발했다는 설명이다.
일각에서는 9월로 예정도니 차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전이라도 긴급회의
를 열어서 금리인하를 단행해야 한다고 주장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시장 분석가들은 이번 증시 폭락이 경기 침체가 다가오고 있다는 확실한
신호가 아니며, 대부분 지표에서 미국 경제가 여전히 견조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만큼 패닉에 빠지기에는 이르다고 지적했다고 워싱턴 포스트(WP)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