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안전해외선물 강실장입니다.
이번 시간은 보조지표 중 하나인 '더블 탑 · 더블바텀'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더블탑 · 더블바텀(Double Top, Double Bottom) 이란???
더블탑과 더블바텀은 천장과 바닥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따. 특정 가격대를 뚫고 올라가려는
시도가 처음에는 실패하였다가 두번째에도 해당 가격대를 뚫지 못하고 하락 시그널이 보이
게 될 경우 강한 저항을 받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되는 경우들이 많다. 이러한 패턴을 더블탑
이라 한다.
더블 바텀의 경우는 이와 반대로 특정 가격대 밑으로 가격이 하락하려는 시도가 두번 실패할
경우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즉 첫 번째 고점 생성 이후
소폭으로 하락하다가 다시 두번째 고점을 형성한 뒤 이전보다 더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다.
주목해야할 점은 상승 시도가 그 이후에도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세번째 조검을 만들고 난 뒤에는 첫번째와 두번째보다도 더울 큰 폭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고점이 두번이였다면 더블탑이였겠지만, 세번의 고점을 형성하여 트리플 탑
패턴이 되는 경우도 있다.
더블탑과 트리플탑은 회차만 2회, 3회로 다를 뿐이고 기본적인 맥락은 동일하다고 보면 된다.
하지만 회차가 거듭할수록 신뢰도는 더욱 강해지며, 가격이 움직이는 폭도 커진다는 것이
보편적인 견해이기 때문에 더블보단 트리플에 대한 신뢰도가 우선적으로 높은 편이다.
반복되는 바텀은 저점이 이전보다 내려가서는 안되며, 우사하거나 상승해야 한다.
반복되는 탑은 고점이 이전보다 올라가서는 안되며, 유사하거나 하락해야 한다.
추세선을 지속적으로 터치하며 상승또는 하락하는 경우에도 큰 맥락에서 보면 더블, 트리플
인 셈임다. 여러분들께서도 차트 내에서 더블탑, 더블 바텀이나 트리플 탑과 바텀 패턴을
한 번 직접 찾아보시면서 상승과 하락 중 어떠한 결과가 도출되는지 확인해보시는 것도 바람
직한 공부가 될 것입니다.
'경제 상식 알아보기 > 보조지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조지표] ADR(Advance Deline Ratio) 등락비율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5.02.22 |
---|---|
[보조지표] 거래량 비율(Volume Ratio, VR)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2.20 |
[보조지표] 아담앤이브(Adam&Eve) 패턴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2.18 |
[보조지표] 평균방향지수(ADX)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2.17 |
[보조지표] 피보나치 되돌림 보조지표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