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18

美, 아시아 국가중 한국과 관세 합의 최우선으로 생각중...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과의 무역 협상이 합의에 이를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한국이 아시아 국가 중 협상 최우선 대상이라는 외신 보도도 나왔다. 한국 정부는 "합의 목표 시한을 정한 바 없다"며 속전속결로 합의 가능성을 일축하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뉴스태널 뉴스네이션이 개최한 타운홀 행사에서 '한국 일본 인도와 이미 협상을 타결했느냐'는 질문에 "우리는 그들과 합의할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다. 이어 "한국 일본 등 여러 나라와 협상을 진행 중"이라며 우리는 엄청난 힘의 우위를 가지고 있으며 훌륭한 합의를 이끌어낼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그들이 필요하지 않지만 그들은 우리에게서 돈을 뜯어 가고 있다"며 "우리는 한국의 방위를 지원하고 있지만 우역에서 오히려 우리가 ..

트럼프 3선 도전 가능성 가지고 배팅 열기 후끈...

트럼프 조직이 2028년 대선을 겨냔해 "Trump 2028(Re-write the Rules)" 문구가 새겨진 모자와 티셔츠를 판매하고 있다. 동시에 온라인 예측 플랫폼에서는 트럼프 3선 도전에 대한 배팅이 이어지고 있다. 암호화폐 기반 예측 플랫폼 칼시와 폴리마켓에서 트럼프의 3선 도전을 주제로 한 배팅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칼시에서는 '트럼프가 3선에 도전할 가능성'에 14%의 가능성이 부여됐다. 폴리마켓에 서는 이보다 낮은 확률로 배팅이 책정됐다. 약 2만 7657달러의 거래량을 기록한 배팅 에서는 트럼프가 3선 도전 선언을 할 가능성을 7%로 평가하였다. 또한 트럼프가 22차 개헌안을 폐지할 가능성을 묻는 배팅은 약 20만 3239달러(2억 9,242만원)의 거래량을 기록했으며, 이 ..

트럼프...내가 원하면 제롬 파월 의장도 해임할 수 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장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우려를 표하며 통화정책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자,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의장 해임을 거론하며 금리 인하를 압박하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17일(현지시간)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와 회담한 후 백악 관 집무실에서 파월 의장을 대통령이 해임할 수 있냐는 취재진 질문에 "내가 요구하면 그는 나갈 것이다"며 "그가 일을 잘 한다고 보지 않는다. 그는 항상 너무 느리고, 만족스럽지 않다"고 말하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쇼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서도 "파월은 ECB처럼 오래전에 금리를 인하했어야했고, 지금이라도 당장 인하해햐 한다"며 "파월의 해임은 아무리 빨라도 지나치지 않다"고 주장하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거듭 파..

스탠다드차타드 보고서에 따르면...2028년까지 스테이블코인 공급량 10배 증가한다...

스탠다드차타드(Standard Chartered)가 최근 보고서를 통하여 미국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안이 올해 통과될 경우, 2028년까지 스테이블코인 공급량이 약 10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 했다고 16일 비트코인닷컴이 보도하였다. 현재 미국 의회에는 상원의 'GENIUS 법안'과 하원의 'STABLE 법안' 두 가지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안이 검토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들 법안을 8월 의회 휴회 전에 서명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스탠다드차타드의 분석에 따르면, 법안이 8월까지 통과된다면 비거래 관련 스테이블코인 거래의 연간 성장률이 현재 50%에서 100%로 두 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해 스테이블코인의 시장 규모는 현대 약 2300억 달러에서 2조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

중국은 "트럼프는 양보를 약점으로 해석한다...관세전쟁 전략 유지할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 관세는 125% 이상하고, 다른 나라에 대해서는 90일  관세유예를 결정하였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지만, 중국은 양보보다는 정면 돌파를 택할 것" 으로 전망하였다.  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대니얼 러셀 아이아소사이어티 국제안보외교  부대표는 "중국은 강경대응, 압밥 흡수, 트럼프의 무리수 유도 전략을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 고 말했다. 그는 "베이징은 트럼프가 양보를 약점으로 해석한다고 믿고 있어 쉽게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중국은 아직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제품에 대한 관세를 125%까지 올리겠다는 최근 발표에  공식 반응을 내지 않았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미국의 관세 인상에 대해 대체로 동일한 수준 으로 맞대응..

美, 중국에 재 보복 관세 9일 강행... 합이 104%

미국 백악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50%의 대중 추가관세가 오는 9일(현지시간) 부터 적용될 것이라고 8일 밝혔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예고한 50%  대중 추가관세가 예고대로 내일 시행되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그것들은 오늘밤 0시 1분부터 발효돼, 내일부터 시행 될 것이다"고 말했다.  추가 관세 부과를 위한 행정명령 작업이 오늘 진행되냐는 추가 질문에도 "당연하다"고 자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펜타닐 유입을 명목으로 두차례 중국에 10% 관세를 부과 했고, 지난 2일에는 34%의 상호관세도 부과하였다. 중국은 이에 반반해 34% 보복 관세를  발표하자, 철회하지 않으면 50% 관세를 더 물리겠다고 위협하였다.  하지만 중국 현..

리플 CEO 갈링하우스 "올해 암호화폐 채택 증가할 것"

리플의 CEO 브래드 갈링하우스가 올해 암호화폐 채택이 급격히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 하였다. 그는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암호화폐 산업에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이를 계기로 미국 내 암호화폐 시장이 큰 변화를 맞이할 것이라고 분석하였다.  24일(현지시간) 데일리호들의 보도에 따르면, 갈링하우스는 폭스 비즈니스와의 인터뷰 에서 "미국 정부가 암호화폐 산업을 불필요한 소송과 강압적인 규제로 억누르던 상황에서 벗어나면서 디지털 자산 부문의 성장이 가속화될 준비가 됐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미국 이 소송을 제기한 이후, 리플은 미국 시장에서 사실상 정체 상태였다"고 설명하며, 현재  리플 고객의 95%가 미국 외 금융 기관들이라고 밝혔다. 이들 고객에는 HSBC, BBVA와  같은 대형..

여론조사 결과 美 경제악화의 책임...트럼프 44% · 바이든34%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글로벌 관세전쟁을 밀어붙이고 있는 가운데 미국인들의  경제 상황 우려도 커지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3일(현지시간) 나왔다.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와 여론조사기관 유거브가 지난 9~11일 미국 전역의 성인 1천 699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이날 공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48%는 미국  경제가 악화하고 있다고 답하였다.  경제가 개선되고 있다고 평가한 응답자는 19%에 불과하였고 비슷하다고 답한 이는 26% 였다. 미국이 현재 경기 침체에 빠졌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엔 37%가 '그렇다'고 답했고 '아니다'라고 답한 이는 32%였다.  현 경제 상황에 대한 책임이 누구에게 있느냐는 질문엔 44%가 트럼프 대통령을 꼽았고,  34%는 조바이든 전 대통령을 지목하였..

트럼프 대통령 71억에 美 영주권 판매 한다... 투자 이민 비자는 폐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500만달러(약71억원)를 내면  영주권을 주는 정책을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우리는 골드 카드를 판매할 것이다.  그린카드(Green Card:영주권을 가리키는 말)가 있는데 이것은 골드카드" 라면서 "우리는 이 카드에 약 500만달러의 가격을 책정할 것" 이라고 말하였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 하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골드카드는 약 2주 후부터 판매될 것이라고 말하였다. 그는 러시아의 신흥 재벌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지지 그룹에 속하는  올리가르히도 골드카드를 구매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질 수 있다고 부연하였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투자이미(EB-5) 제도를 폐지할 것이라고 하..

트럼프와 푸틴 통화...러 VS 우크라 종전협상 즉각 시작하기로 합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전화  통화를 하고 우크라이나전쟁 종전 협상을 즉각 시작하기로 합의하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나는 막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길고 고도로 생산적인 전화 통화를 하였다"며 "우리는 우크라이나, 중동,  에너지, 인공지능(AI), 달러의 위력, 그리고 다른 주제들에 대해 논의하였다"고 전했다. 미국과 러시아의 대통령이 직접 연락한 것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을  개시하기 직전 조 바이든 전 미 대통령과 통화한 2022년 2월 이후 처음이다. 푸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통화는 트럼프 1기 정부 대인 2020년 7월 23일 이후 처음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