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안전해외선물 강실장입니다.
이번 시간은 미국경제지표 중 하나인 '수입물가지수'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수입물가지수(Import Price Index) 란???
수입물가지수는 미국이 해외시장에서 구매 및 판매하는 상품의 가격 변화를 기록하여
지수화 한 것을 말한다. 수입품의 가격 변동이 국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작성되는 지수로 수입 원자재 가격의 변동은 생산자물가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생산주물가지수(PPI)에 대한 선행성을 지니고 있다.
어떠한 물가지표보다 가장 먼저 발표되므로 생산자물가지수보다 약 1~2개월 먼저
반응을 한다. 하지만 수입물가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의 참고용으로 쓰이고 있다.
수입물가지수로 인해 영향을 받는 요인은 크게 환율과 원자재 가격으로 나뉜다.
● 환율
수입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소로는 환율이라 할 수 있다. 기축통화인 달러가 하락하게 되면 원자재와 상품 가격이 오르고 수입 물가가 오르게 된다. 반대로 달러가 상승하게 되면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게 되면서 수입물가를 낮축레 된다. 결국 환율이 움직이면 수입 물가지수는 변하고 곧 생산자 물가지수와 소비자물가지수에 영향을 미친다.
● 원자재 가격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수입물가가 상승하는 경우도 매우 드물다. 특히 국제 유가와 곡물가격은 수입물가지수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 환율이 변하지 않더라도 원자재 가격 상승만으로 생산자물가와 소비자물가 변동을 일으키게 된다.
지표 해석
● 예상치를 상회시 미달러화 가치 및 전망이 긍정적이라는 뜻을 의미한다.
● 예상치를 하회시 미달러화 가치 및 전망이 부정적이라는 뜻을 의미한다.
지표 확인
● 발표일 / 시간
- 노동부 산하의 노동통계국에서 발표
- 대상 월 종료 뒤 약 한달뒤 동부표준시 오전 8시 30분, 전월 통계치를 발표
항상 안전 투자하시고 먹튀 걱정없는 해외선물 문의 있으시면
밑에 사진 클릭시 상담 연결 가능합니다.
'경제 상식 알아보기 > 경제지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경제지표] 고용비용지수(Employmen Cost Index, ECI)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1.30 |
---|---|
[미국경제지표] 단위노동비용(Unit Labor Costs)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1.29 |
[미국경제지표] 신규주택판매(New Home Sales)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1.28 |
[미국경제지표] 주택착공건수(Housing Starts)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1.26 |
[미국경제지표] S&P/CS(Case-Shiller) 20대 도시 주택가격지수 (0) | 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