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상식 알아보기/경제지표

[미국경제지표] 생산자 물가 지수(Producer Price Index,PPI)에 대해 알아보자

안전해외선물 2025. 2. 5. 13:12

안녕하세요~ 안전해외선물 강실장입니다.

 

이번 시간은 미국경제지표 중 하나인 '생산자 물가 지수'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생산자 물가지수(Producer Price Index, PPI) 란???

 

 

미국에서 사용되는 물가지수 중 하나로 생산자가 생산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생산자물가지수가 관심을 끄는 것은 제품 원가의 상승이 물가 상승

 

으로 연결되어 있다. 완성된 제품의 공장도 가격이 상승할 경우 제품 판매 가격의 인상

 

으로 이어질 수 있다. 도매업자 또는 생산자 입장에서 측정된 가중평균 물가지표이며, 

 

지표산출에 있어 서비스 및 수입품은 제외되는데 각 구성 요소별로 특정 시기의 생산

 

비중을 생산액 가중치로 적용하여 전체 경제 대비 움직임을 측정한다. 

 

생산자들은 생산 원가의 증감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므로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선행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원자재, 중간, 최종재를 나타내는 생산의 세 진행 단계별 가격지수가

 

포함되며, 최종재는 PPI는 금융시장에 가장 큰 흥미를 유발한다. 

지표 해석

 

● 예상치 상회시 생산자들이 부담해야 하는 원자재 및 생산 비용이 증가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품에 대한 생산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있는 소비자의 부담으로 인해 인플레이션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 예상치 하회시 물가 상승율이 낮아질 것이라는 의미인데 낮아지는 물가와 성장률은 이자율에도 영향을 미쳐서 은행의 저금리 기조가 지속될 것을 예고한다고 볼 수 있다.

 

 

지표 확인

 

● 발표 기관

 

- 미국 노동부 산하의 노동통계국

 

● 발표일 / 시간

 

- 대상 월 종료 뒤 2주~3주 후 발표하며 동부 표준시 오전 8시 30분 전월 통계치를 발표

 


 

항상 안전 투자하시고 먹튀 걱정없는 해외선물 문의 있으시면 

 

밑에 사진 클릭시 상담 연결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