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상식 알아보기/보조지표

[보조지표] 파라볼릭(Parabolic SAR) 추세지표에 대해 알아보자

안전해외선물 2025. 2. 23. 11:59

안녕하세요~ 안전해외선물 강실장입니다.

 

이번 시간은 보조지표 중 하나인 '파라볼릭 추세지표'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파라볼릭(Parabolic SAR) 이란???

 

 

웰즈 와일더에 의해 개발된 지표로서 추세전환시점을 파악할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기존의 추세가 끝나고 새로운 추세가 시작되었다는 것을 붉은 점선의 포물선(Parabolic)

 

형태로 보여주는 지표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파라볼릭 지표상의 전환은 기존 추세의 가속력이 약해져 새로운 추세 전환이 

 

임막했음 알리는 의미를 담고 있다. 파라볼릭 지표는 시장가격이 추세를 형성하고 움직

 

일 때 추세 진행의 가속력이 높아진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만들어졌다. 주가와 환율의

 

추세가 일단 형성될 경우 기존 흐름이 강하게 나타나지만, 추세가 전환할 때에는 흐름이 

 

약해진다.

 

차트 상에서 주가가 파라볼릭 지표보다 위에 있으면 상승추세의 의미이며, 아래에 있으면

 

하락추세의 의미가 된다. 따라서 주가가 SAR위로 올라갔을 떄는 매수를 주가가 SAR 

 

아래로 내려갈때는 매도 신호로 인식을 하면 된다.

 

 

파라볼릭 계산 공식

 

 

ASRt = ASRt - 1 + {AF X (EP - SARt - 1)}

 

상승추세 : 익일 Parabolic = 당일 Parabolic + (추세내의 신고가 - 당일  SAR)

 

하락추세 : 익일 Parabolic = 당일 parabolic + (추세내의 신저가 - 당일 SAR)

 

 

여기서 AF는 가속변수(Acceleration Factor), EP는 중요 시장가격 (Extrem Price)인데 

 

이에 대한 이해는 조금 더 필요하다.

 

중요시장가격 (Extrem Price, EP)

 

- EP는 일정기간 동안의 고가와 저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 상승추세에서는 신고가, 하락추세에서는 신저가를 이용한다.

- 신고가 혹은 신저가가 발생하지 않으면 직전의 EP를 그대로 사용한다.

- 추세전환 시 첫 SAR 계산은 SARt-1 대신 전환되기 직전의 EP를 사용한다.

 

가속변수(Acceleration Factor) 

 

- AF는 추세가 진행될 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수값을 증가시켜 매매신호의 후행성을 개선코자 적용하는 값 또는 가중치

- 추세전환시에도 역시 AD의 초기값은 0.02에서 다시 시작하여 새로운 EP가 나올 때마다  0.02씩 증가한다.

- AF값은 Wilder는 AF 값의 검증 결과 0.02가 가장 적절하다는 주장을하면서 변경을 하더라도 0.018~0.021 사이의 값을 이용할 것을 권하고 있다.

 


 

항상 안전 투자하시고 먹튀 걱정없는 해외선물 문의 있으시면

 

밑에 사진 클릭시 상담 연결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