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상식 알아보기/보조지표

[보조지표] 맥클레런 오실레이터(McClelan Oscillator)에 대해 알아보기

안전해외선물 2025. 3. 20. 13:56

안녕하세요~ 안전해외선물 강실장입니다. 

 

이번 시간은 보조지표 중 하나인 '맥클레런 오실레이터'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맥클레런 오실레이터(McClelan Oscillator) 란???

 

 

모든 트레이더와 분석가는 시장을 유리하게 이용하기 위해 다양한 보조지표에 의존하거나

 

연구를 한다. 보조지표는 측정 방식에 따라 여러 범주로 분류되는 경우들이 많다. 맥클레런

 

오실레이터의 경우 모멘텀 인디케이터로 알려진 그룹에 속하며, 가격 움직임의 방향이 아닌

 

강약을 나타내도록 설계되어있다. 

 

 

모멘텀 오실레이터(Momentum Oscillator) 란???

 

 

모멘텀 인디케이터는 선행과 후행으로 두 가지 범주에 자주 적용된다. 모멘텀 오실레이터는 

 

일반적으로 선행지표로 간주되고 있으며, 가격 변동을 주도하도록 구조화되어 있다. 즉,

 

모멘텀 인디케이터가 효율적으로 작동하면 실제로 변화가 일어나기 전에 가격 방향이나 

 

추세의 변화 또는 변화를 알려준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선행 지표 중 일부는 모멘텀 오실레이터로 가장 간단한 용어로 유가 

 

증권의 가격 변동 속도를 측정한다. 유가증권 가격이 더 빠르게 상승하면 가격 모멘텀도 

 

증가한다. 유가증권이 더 빨리 상승하거나 기간 대비 가격 변동이 클수록 모멘텀이 더 

 

크게 증가한다. 논리적으로 추론할 수 있듯 상승 속도가 느려지면 모멘텀도 같이 느려진다.

 

하지만 트레이더가 명심해야 할 점은 유가증권이 횡보할 때 특히 모멘텀이 이전에 특히

 

높은 수준이었던 경우 모멘텀도 감소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모멘텀 감소가 항상 시장 

 

반전이 임박했다는 신호는 아니다. 단순하게 모멘텀이 중각ㄴ 상태로 돌아갔다는 신호

 

일 수 있다.

 

 

맥클레런 오실레이터 계산하기

맥클레런 오실레이터를 계산하려면 19일 지수이동평균(EMA)에서 39일 지수이동평균

 

을 뺴야한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EMA는 상승하는 이슈와 하락하는 이슈의 차이를

 

결정하여 계산된다. 계산을 하나의 공식으로 단순화하면 다음과 같다.

 

 

(상승 - 하락의 19일 EMA) - (상승 - 하락의 39일 EMA)

 

 

1. 상승 종목 수에서 하락 종목 수를 뺀 시장 너비 차이를 계산한다.

 

2. 그 값에 대해 **19일 지수 이동평균(EMA)**과 **39일 지수 이동평균(EMA) **을 각각 구한다.

 

3. 19일 EMA에서 39일 EMA를 빼서 최종 맥클레런 오실레이터 값을 도출한다.

 


 

항상 안전 투자하시고 먹튀 걱정없는 해외선물 문의 있으시면

 

밑에 사진 클릭시 상담 연결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