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안전해외선물 강실장입니다.
이번 시간은 보조지표 중 하나인 '이중지수이동평균'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이중지수이동평균(Double EMA, DEMA) 이란??

이중지수이동평균은 Patrick Mulloy가 1994년에 개발한 기술적 지표로, 지수이동평균
(EMA)보다 빠르게 반응하면서도 지연을 최소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DEMA는 단순
히 두 개의 EMA를 결합한 것이 아니라, EMA와 이차 EMA를 사용하여 계산된다.
즉, 이동평균선의 시간차이를 보안해서 만들어진 지표라 할 수 있으며, 골드크로스와
데드크로스로 매매 시점을 본다.
이중지수이동평균 활용방법

- 이동평균의 일종으로 이동평균 방법과 동일
- 골드크로스 매수시점, 데드크로스 매도시점
- 주가에 근접했을 경우에는 종종 지지선과 저항선의 역할도 수행
- 현재의 종가가 DEMA와의 간격을 산출하는 이격도로 활용할 수 있음
-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의 시기가 앞당겨지게 되므로 장점이 된다.
이중지수이동평균 계산법

1. 첫번째 지수이동평균(EMA1) 계산
- EMA1(t) = (현재 가격 - EMA1(t-1)) * K + EMA1(t-1)
- 여기서 K는 가중치 계수로 K=2 / (N + 1), N은 기간이다.
2. 두번째 지수이동평균(EMA2) 계산
- EMA2(t) = (EMA(t) - EMA2(t-1) * K + EMA2(t-1)
3. DEMA 계산
- DEMA(t) = 2 * EMA(t) - EMA(t)
이중지수이동평균의 실제사례

● 주식 시장 분석
투자자들은 DEMA를 사용하여 주식의 단기 및 장기 추세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DEMA를 사용하여 추세 반전을 식별하고 매수 또는 매도 신호를 포착할 수 있다.
● 외환 시장
외환 트레이더들은 DEMA를 활용하여 퉁화 쌍의 가격 변동을 예측하고, 적절한 매수 및 매도 시점을 결정한다. 젼동성이 큰 외환 시장에서는 DEMA의 빠른 반응 속도가 큰 장점이 된다.
● 상품 시장
원유, 금 등의 상품 가격 분석에도 DEMA가 사용된다. 이는 상품 가격의 변동성을 줄이고, 추세를 명확히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항상 안전 투자하시고 먹튀 걱정없는 해외선물 문의 있으시면
밑에 사진 클릭시 상담 연결 가능합니다.

'경제 상식 알아보기 > 보조지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조지표] 피셔 변환 지수(Fisher Transform Index)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3.23 |
---|---|
[보조지표] 맥클레런 오실레이터(McClelan Oscillator)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5.03.20 |
[보조지표] 거래량 가중 평균가격(Volume Weighted Average Price, VWAP)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3.18 |
[보조지표] 상대 활력 지수(Relative Vigor Index)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3.16 |
[보조지표] 투자심리선(Psychological Line)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