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안전해외선물 강실장입니다.
이번 시간은 경제용어 중 하나인 '리커창지수'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 1. 리커창지수란?
리커창지수는 중국 총리 리커창이 랴오닝성 당서기 시절에 말한 다음 발언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나는 GDP 수치를 믿지 않는다. 대신 세 가지 지표를 본다.”
▸ 전력 소비량
▸ 철도 화물 운송량
▸ 은행 대출 규모
즉, 실물경제의 흐름을 반영하는 ‘실질적 지표’ 3가지를 기반으로 중국 경제를 평가하겠다는 뜻이었습니다.
🔹 2. 왜 생겼나? (배경)
- 중국 GDP 통계는 조작되거나 부정확할 수 있음
- 지역 간 경쟁·성과주의로 인해 과장된 수치가 많았음
- 리커창은 “허수가 아닌 실물 지표”를 보고자 함
🔹 3. 구성 요소
항목설명
전력 소비량 | 산업 생산과 경제활동의 직간접적 지표 |
철도 화물 운송량 | 물류량 증가 = 실물경제 회복 신호 |
은행 대출(위안화 대출 잔액) | 금융시장 유동성과 투자 활동의 바로미터 |
이 3가지를 기반으로 리커창지수는 계산됩니다. 공식적인 산식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대개 세 항목의 연율 변화율을 평균해 추정합니다.
🔹 4. 사용 예시 및 적용
- 투자자, 국제기구(예: IMF), 리서치 기관 등이 중국 경제를 직접적, 실질적으로 분석할 때 사용
- GDP 성장률과 리커창지수를 비교하여 괴리를 분석함
- 예: GDP는 +6%인데, 리커창지수는 +2%라면 → 과대평가 가능성 있음
🔹 5. 리커창지수 vs 중국 공식 GDP
항목리커창지수중국 GDP
신뢰성 | 상대적으로 높음 | 의심받는 경우 많음 |
발표 주체 | 민간/국제기관 추정 | 중국 정부 통계 |
기준 지표 | 실물 지표 (3개) | 다양한 종합지표 |
속도 | 더 빠르게 경기 변화 반영 | 비교적 느림 |
🔹 6. 한계점도 있음
- 전력·화물·대출이 전체 경제를 모두 반영하지는 않음
- 서비스 산업이나 디지털 경제는 반영하기 어려움
- 부동산, 소비 지표가 빠져 있음
- 지표 자체의 왜곡 가능성도 존재 (예: 대출 급증 = 위기 대응)
🔹 7. 실제 사례
- 2015
2016년: GDP 성장률은 67%로 유지되었지만, 리커창지수는 하락
▸ 실물경제는 둔화되고 있었음을 시사 - 2020년 코로나 초기: 리커창지수 급락 → 경기 급랭 조기 탐지
- 최근 몇 년간은 공식 통계보다 리커창지수가 더 보수적 경향
🔹 8. 결론 요약
항목내용
정의 | 전력소비, 철도운송, 은행대출로 본 대체적 경기 지표 |
목적 | 중국 GDP 통계의 신뢰 부족 보완 |
장점 | 실물경제 직접 반영, 빠른 변화 탐지 |
단점 | 서비스·소비 중심 경제 변화 반영 미흡 |
실전 활용 | 투자자, 애널리스트, 리서치기관이 주로 사용 |
항상 안전 투자하시고 먹튀 걱정없는 해외선물 문의 있으시면
밑에 사진 클릭시 상담 연결 가능합니다.
'경제 상식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아비트리지(Arbitrage)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5.06.08 |
---|---|
(경제용어) 바스켓 거래(Basket Trading)에 대해 알아보자 (3) | 2025.06.07 |
(경제용어) 님비현상(NIMBY, Yes In My Back Yard)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5.05.26 |
(경제상식) 주식 체결강도(Execution Strength)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5.24 |
(경제상식) 미닝아웃(Meaning Out)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