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상식 알아보기

(경제용어) 리커창지수(Li Keqiang Index)에 대해 알아보자

안전해외선물 2025. 6. 6. 11:19

안녕하세요~ 안전해외선물 강실장입니다.

 

이번 시간은 경제용어 중 하나인 '리커창지수'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 1. 리커창지수란?

리커창지수는 중국 총리 리커창이 랴오닝성 당서기 시절에 말한 다음 발언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나는 GDP 수치를 믿지 않는다. 대신 세 가지 지표를 본다.”

전력 소비량
철도 화물 운송량
은행 대출 규모

즉, 실물경제의 흐름을 반영하는 ‘실질적 지표’ 3가지를 기반으로 중국 경제를 평가하겠다는 뜻이었습니다.

 

🔹 2. 왜 생겼나? (배경)

  • 중국 GDP 통계는 조작되거나 부정확할 수 있음
  • 지역 간 경쟁·성과주의로 인해 과장된 수치가 많았음
  • 리커창은 “허수가 아닌 실물 지표”를 보고자 함

 

🔹 3. 구성 요소

항목설명
전력 소비량 산업 생산과 경제활동의 직간접적 지표
철도 화물 운송량 물류량 증가 = 실물경제 회복 신호
은행 대출(위안화 대출 잔액) 금융시장 유동성과 투자 활동의 바로미터
 

이 3가지를 기반으로 리커창지수는 계산됩니다. 공식적인 산식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대개 세 항목의 연율 변화율을 평균해 추정합니다.

 

🔹 4. 사용 예시 및 적용

  • 투자자, 국제기구(예: IMF), 리서치 기관 등이 중국 경제를 직접적, 실질적으로 분석할 때 사용
  • GDP 성장률과 리커창지수를 비교하여 괴리를 분석함
  • 예: GDP는 +6%인데, 리커창지수는 +2%라면 → 과대평가 가능성 있음

🔹 5. 리커창지수 vs 중국 공식 GDP

항목리커창지수중국 GDP
신뢰성 상대적으로 높음 의심받는 경우 많음
발표 주체 민간/국제기관 추정 중국 정부 통계
기준 지표 실물 지표 (3개) 다양한 종합지표
속도 더 빠르게 경기 변화 반영 비교적 느림
 

🔹 6. 한계점도 있음

  • 전력·화물·대출이 전체 경제를 모두 반영하지는 않음
  • 서비스 산업이나 디지털 경제는 반영하기 어려움
  • 부동산, 소비 지표가 빠져 있음
  • 지표 자체의 왜곡 가능성도 존재 (예: 대출 급증 = 위기 대응)

🔹 7. 실제 사례

  • 20152016년: GDP 성장률은 67%로 유지되었지만, 리커창지수는 하락
    ▸ 실물경제는 둔화되고 있었음을 시사
  • 2020년 코로나 초기: 리커창지수 급락 → 경기 급랭 조기 탐지
  • 최근 몇 년간은 공식 통계보다 리커창지수가 더 보수적 경향

🔹 8. 결론 요약

항목내용
정의 전력소비, 철도운송, 은행대출로 본 대체적 경기 지표
목적 중국 GDP 통계의 신뢰 부족 보완
장점 실물경제 직접 반영, 빠른 변화 탐지
단점 서비스·소비 중심 경제 변화 반영 미흡
실전 활용 투자자, 애널리스트, 리서치기관이 주로 사용

항상 안전 투자하시고 먹튀 걱정없는 해외선물 문의 있으시면

 

밑에 사진 클릭시 상담 연결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