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안전해외선물 강실장입니다.
이번 시간은 경제용어 중 하나인 '바스켓 거래'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 1. 바스켓 거래란?
여러 종목을 하나의 포트폴리오처럼 묶어 한 번에 주문하고, 자동으로 비율에 맞게 거래하는 시스템
예를 들어 A, B, C 주식을 각각 40%, 30%, 30% 비중으로 묶은 뒤, 한 클릭으로 이 바스켓을 매수하면 각 종목이 해당 비율대로 매수됩니다.
🔹 2. 주요 특징
특징설명
✅ 동시 다종목 거래 | 여러 종목을 동시에 매수/매도 |
✅ 자동화 | 비율 조정, 가격 반영, 리밸런싱 자동 처리 가능 |
✅ 전략적 운용 | 테마형, 섹터형, 시장중립형 바스켓 구성 가능 |
✅ 시간 절약 | 복수 종목 일괄 주문으로 체결 속도 높음 |
🔹 3. 주요 활용 사례
▪ 퀀트/기관투자자
- 예: 시가총액 상위 10종목 바스켓 구성 → 시장 추종 전략
- 예: 저PBR + 고ROE 종목군으로 바스켓 구성 → 팩터 기반 전략
▪ 리스크 헤지
- A업종 주식 매수 바스켓 + B업종 주식 매도 바스켓
→ 업종 간 상대 성과에 베팅하는 시장 중립 전략
▪ ETF 구성/해지
- ETF 운용사는 ETF를 만들거나 해지할 때 바스켓 거래로 기초 종목을 일괄 매매함
🔹 4. 거래 방식 예시
🎯 예시 바스켓
종목비중매수 단가수량
삼성전자 | 50% | 80,000원 | 30주 |
NAVER | 30% | 160,000원 | 10주 |
카카오 | 20% | 50,000원 | 20주 |
→ 바스켓 총액: 약 500만 원
→ 한 번의 클릭으로 3종목이 자동으로 비중대로 체결됨
🔹 5. 장점 vs 단점
장점단점
시간 절약 | 거래 수수료가 종목 수만큼 발생 가능 |
전략 실행 용이 | 시장 상황 따라 바스켓 내 종목 편차 발생 |
분산 투자 | 종목 간 연동성 약하면 효과 약화 가능 |
시장 중립 가능 | 시스템이나 데이터 오류 시 리스크 증폭 |
🔹 6. 어떤 곳에서 쓰이나?
- 증권사 HTS/프로그램 매매 시스템
- 퀀트 펀드 및 헤지펀드 전략
- 파생상품 헷지 시 포트폴리오 매매
- ETF 및 인덱스 펀드 운용
🔹 7. 실전 팁
- ✅ 바스켓 종목 수는 너무 많지 않게 (10종 이하)
- ✅ 유사한 변동성을 가진 종목끼리 구성 → 리스크 균형
- ✅ 일정 주기로 리밸런싱 필요
- ✅ 시장 상황에 따라 구성 변경도 고려
🔹 8. 요약
항목설명
정의 | 여러 종목을 묶어 동시에 자동 거래하는 방식 |
목적 | 전략적 투자, 리스크 분산, 효율적 매매 |
주요 활용 | 기관, 퀀트 전략, ETF 운용 등 |
장점 | 빠르고 효율적인 거래, 전략 구현 용이 |
주의점 | 수수료, 동기화 실패, 시장 충격 등 관리 필요 |
항상 안전 투자하시고 먹튀 걱정없는 해외선물 문의 있으시면
밑에 사진 클릭시 상담 연결 가능합니다.

'경제 상식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자산유동화증권에 대해 알아보자 (4) | 2025.08.04 |
---|---|
(경제용어) 아비트리지(Arbitrage)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5.06.08 |
(경제용어) 리커창지수(Li Keqiang Index)에 대해 알아보자 (3) | 2025.06.06 |
(경제용어) 님비현상(NIMBY, Yes In My Back Yard)에 대해 알아보자 (3) | 2025.05.26 |
(경제상식) 주식 체결강도(Execution Strength)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