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안전해외선물 강실장입니다.
'텐배거' 란 표현은 일반적으로 한 포지션에서 원금 대비 10배 이상의 수익을 낸 경우를
의미한다. 이 용어는 본래 주식 투자자 피터 린치(Peter Lynch)가 처음 사용했으며, 주식
에서 10배 상승한 종목을 뜻하지만, 해외선물에도 비유적으로 적용된다.
해외선물에서는 단기 수익률이 크고 레버리지가 강하기 때문에 이 개념이 포지션 단위
에서 적용될 수 있다.
● 예시 :
▷$1,000 증거금으로 진입한 포지션이 $10,000 이상 수익을 실현했다면 "텐배거"
▷ 또는 1계약에서 틱당 수익 $10 x 1,000틱 = $10,000 수익 → 텐배거 달성
텐배거가 가능한 조건
조건 | 설명 |
강한 추세 포착 | 예 : 금값이 한 달간 100달러 이상 급등하는 경우 등 |
초기 진입과 장기 홀딩 | 눌림목, 이중 바닥, 브레이크아웃 직후 진입해 장기간 보유 |
적절한 레버리지 활용 | 과도하지 않게 자금 대비 레버리지 사용 |
심리적 흔들림에 안 흔들림 | 중간의 조정에도 익절하지 않고 끝까지 보유 |
뉴스·거시경재 대응 | FOMC, 전쟁, 환율, 급변 등 큰 이벤트 활용 |
텐배거 실형은 어렵다???
● 심리적 부담
- 수익이 커질수록 "잃기 싫다"는 감정이 커져 조기 익절 유혹 강해짐
● 마진 관리 문제
- 시장의 반대 움직임이나 일시적 조정이 있을 경우, 마진콜 위기 발생 가능
● 급등락 리스크
- 해외선물은 기본적으로 고변동성 상품이다. 추세라고 믿고 홀딩했지만, 하루 만에 100틱 반대로 움직이면 수익 대부분이 사라질 수 있다.
● 시간과 에너지 소모
- 포지션을 오랜 시간 유지하려면 지속적인 모니터링, 심리 관리, 경제 흐름 파악이 필요
→ 단순히 "버티면 된다" 수준이 아님
현실적인 접근법 (텐배거 전략의 구조화)
전략 요소 | 설명 |
1. 트레이딩 조건 명확화 | 추세 시작 시점, 손절/익절 기준, 레버리지 한도 등 |
2. 구간별 목표 수익 설정 | 1차 목표 수익 후 스톱 로스를 이동시켜 리스크 제로화 |
3. 부분 청산 + 트레일링 | 일정 구간에서는 수익 실현, 일부는 끝까지 추세 추종 |
4. 포지션 분산 | 한 종목에 몰빵하지 않고, 여러 종목에 기회를 나누어 추구 |
5. 레버리지 제한 | 텐배거는 결과이지, 레버리지를 올린다고 자동으로 되는 게 아님 |
결론
텐배거는 '가능한 꿈'이지만, 우연히 생기는 결과가 아니라 전략적으로 구조화되어야 한다. 해외선물에서는 특히 진입 구간의 리스크 최소화, 강한 트렌드 포착, 철저한 심리/마진 관리 이 세 가지가 함께 작동해야 텐배거 가능성이 생긴다.
항상 안전 투자하시고 먹튀 걱정없는 해외선물 문의 있으시면
밑에 사진 클릭시 상담 연결 가능합니다.
'해외선물 기초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선물 시장에서 불마켓(Bull Market)이란??? (0) | 2025.06.21 |
---|---|
해외선물 거래시 마디매매의 활용법 (2) | 2025.06.18 |
해외선물 거래에서 갭(Gap)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5.06.15 |
해외선물 증거금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5.06.13 |
해외선물 거래시 종목별 거래시간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