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외선물 강실장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경제용어 중 하나인 기축통화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기축통화(Key Currency) 란???
국제외환시장에서 금융거래 또는 국제결제의 중심이 되는 통화이다.
말인 즉슨 '국가 간의 결제나 금융거래에서 기본이 되는 통화'라는 뜻으로 미국
예일대학 교수 로버트 트리핀이 처음으로 사용한 용어이다.
대표적으로 미국 달러가 이에 손하는데 기축통화로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군사적으로 지도적인 입장에 있어 구각의 존립이 문제시 되지 않아야 하며, 기축
통화 발행국은 다양한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고, 통화가치가 안정적이며, 고도
로 발달한 외환시장과 금융, 자본시장을 갖고 있어야하며 대외거래에 대한 규제도
없어야 한다. 역사적으로 영국의 파운드화, 미국의 달러를 기축통화로 부른다.
미국의 달러는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최대 경제대국으로 부상한 미국이 전 세계
금융과 통화의 주도권을 쥐게 되면서 자연스레 기축통화 자리를 꿰차게 되었고
영국 파운드화도 영어권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축통화 중 하나가 되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같은 패러다임이 깨지기 시작했는데 유럽에서
단일통화인 유로화가 등장하였는데 유로화는 1995년 12월 15일 스페인 마드리
드에서 열린 유럽연합(EU) 정상회의에서 15개 회원국이 1999년 1월 유럽 경제
통화동맹(EMU)를 출범시키고 단일 통화의 명칭을 '유로'로 하기로 합의하면서
탄생하였다.
중요한 점은 EMU를 맺은 유로존 19개국 이외에 유로화를 쓰는 국가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몬테네그로, 바티캄, 산마리노, 안도라, 모나코, 등 유럽 내 소국가
들이 유럽 중앙은행(ECB)의 허가를 받지 않은 채 유로를 공식 화폐로 쓰고 있으며
세르비아로부터 독립을 추진중인 코소보 또한 이미 유로를 공식 화폐로 사용중이다.
이는 미국 달러화를 사용하는 국가가 종전에 비해 크게 줄어들 수 밖에 없음을 시사
했다. 이에 따라 미국 달러화가 세계 통화의 대표라는 타이틀은 점차 옛말로 되어가고
있다.
항상 안전 투자하시고 해외선물 관련 문의 사항 있으시면
밑에 사진 클릭시 상담 연결 가능합니다.
'경제 상식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양적완화와 테이퍼링에 대해 알아보자 1 (0) | 2024.08.07 |
---|---|
(경제용어) 마냐나 경제(Manana Economy)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08.05 |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08.03 |
(경제용어) 피구 효과(Pigou effect)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08.01 |
금리(Interest Rate)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4.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