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 3

[보조지표] 윌리엄즈 프랙탈 지표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안전해외선물 강실장입니다. 이번 시간은 보조지표 중 하나인 '윌리엄즈 프랙탈'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윌리엄즈 플랙탈(Williams Fractal) 이란???  플랙탈이란 빌 윌리엄스라는 전설적인 트레이더가 개발한 지표 중 하나로서 차트에서는  캔들의 상단 혹은 하단이 위치한 세모로 표시가 된다. 프랙탈의 형성 원리는 매우 간단하다.  결국 프랙탈은 상대적인 고점과 저점을 시각적으로 표현해주는 간결한 보조지표이기 때문 이다. 만약 플랙탈 간격을 5로 설정한다고 가정해보면 5개의 본 중에서 가운데에 있는 3번째 봉이 기준봉이 된다. 앞 뒤 2개의 봉을 포함한 5개의 캔들 중에서 3번째 봉에서 고점이 확정 된다면 그때 상단 프랙탈이 만들어진다. 반대로 3번째 봉에서 저..

[보조지표] 매스 인덱스(Mass Index) 추세지표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안전해외선물 강실장입니다. 이번 시간은 보조지표 중 하나인 '매스 인덱스'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매스 인덱스(Mass Index) 란???  매스 인덱스는 대다수의 기술적 분석 지표와는 다른 방식으로 작동한다. 주가의 변동폭과  거래량을 결합하여 일정 기간 동안 추세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추세의 전환점을 예측한다.  따라서 추세의 전환점을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한 지표이다. 1990년대 초 도널드 도시가 개발하여 도입하였으며 도시는 처음 27보다 높은 추시가 나왔 다가 0.5포인트 반 하락하면(26.5) 주가가 방향을 바꿀 준비가 된것으로 생각하였다.  이 결과는 일종의 '팽창'을 일으킬 것인데 지수가 27이면 주식 변동성이 커져 일부 트레이 더가 가격 급등을 예상..

(경재상식) 구인배율과 실업률갭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안전해외선물 강실장입니다. 이번 시간은  '구인배율' 과 '실업률갭'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구인배율이란???  노동의 수요와 공급을 나타내는 지표로 일자리수를 취업 희망지수로 나누어  구하는데 인력수급동향을 파악하는데 주로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구인배율 0.7은 취업 희망자 열 명당 일곱 개의 일자리가 있다는 의미로 수치가 높을수록 고용사정이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기업할동의 확대와 축소를 반영해주는  지표이기 때문에 경기상황에 따라서 경제 성장률이나 실업률 등에 비해 더 큰 폭으로 변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외환위기 이전에는 구인배율이 1을 웃돌아 일자리가 남는 경우도 있었지만, 그 이후에는 대개의 경우 구인배율 1에 못 미치는 것이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