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CEO는 미국 국채 시장이 조만간 교란을 겪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연방준비제도(Fed)가 개입해야 하는 상황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다. 다이먼은 13일 실적 발표에서 "규제와 규칙 때문에 국채 시장에 '소동'이 있을 것"
이라며, 연준이 "일부 패닉 상황이 발생하기 전까지 움직이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였다.
이는 최근 국채 수익률 상승과 시장 변동성이 심화되는 상황과 관련돼 있다. 그는 20202년
코로나 19팬데믹 초기와 유사한 개입이 필요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다이먼은 은행 규제와 유동성이 부족한 시점에 은행들이 시장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못하
도록 막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그는 국채를 레버리지 비율 산정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제안
하며, 이렇게 하면 기관들이 자본 완충 비율을 초과하지 않으면서 더 많은 국채를 매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였다. 만약 규제를 변경하지 않으면, 연준이 대신 중개를 맡아야 할 것
이라고 경고 하였다.
미국 국채 시장은 주택담보대출, 기업 채권 수익률 등 글로벌 금융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이먼은 안약 시스템이 또 마비되면, 경제 전반에 걸쳐 여파가 확살될 수 있다고 경고
했다. 시장 교란이 연준의 개입으로 이어질 경우, 이는 비트코인 같은 디지털 자산으로 투자자
들이 몰린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2020년 연준의 경기 부양책 이후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한
사례가 있다.
'해외증시 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탠다드차타드 보고서에 따르면...2028년까지 스테이블코인 공급량 10배 증가한다... (2) | 2025.04.16 |
---|---|
리플의 XRP, SWIFT 파트너쉽 가능성에 2.40달러 돌파 할 수 있을까? (2) | 2025.04.15 |
리플 SEC와 법정 분쟁 최종 합의 임박.... (0) | 2025.04.11 |
중국은 "트럼프는 양보를 약점으로 해석한다...관세전쟁 전략 유지할 것" (0) | 2025.04.10 |
美, 중국에 재 보복 관세 9일 강행... 합이 104% (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