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안전해외선물 강실장입니다.
이번 시간은 경제용어 중 하나인 '스톡옵션'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스톡옵션(Stock Option) 이란???
스톡옵션이란 회사가 임직원에게 일정 수량의 자사 주식을 미리 정해진 가격(행사가)으로
나중에 살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제도이다. 즉, 회사가 성장해 주가가 올라가면, 그 차익을
통해 임직원이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구조이다. 주로 인재를 유치하거나, 창업 멤버들이 회사에
장기적으로 기여하도록 동기부여하기 위해 도입된다. 이런 장점을 통해 직원들은 회사의
미래 성과에 더 큰 관심을 갖게 되고, 결국 더 열심히 일하게 되는 동기 부여 요소가 될 수 있다.
예컨데 A라는 스타트업이 성장 전 주당 1,000원 수준에서 스톡옵션을 부여했다면, 몇년 후
기업 가치가 올라 주가가 5,000원이 되었을 떄 행사를 하면, (5,000 - 1,000) X 주식 수 만큼
차익을 얻을 수 있는 셈이다.
스톡옵션을 행사했을때 세금
스톡옵션을 행사하게 되면 일종의 근로소득으로 간주되어 세금 이슈가 발생한다. 다만 조건에
따라 다양한 공제나 혜택이 있어,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데 대략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행사이익 = (행사 시점 주가 - 행사가) x 주식 수
이 부분이 세금 부과의 기본이 되는데 일부 공제 한도가 설정된 경우(벤처기업 스톡옵션 등)도
존재한다.
● 벤처기업 우대
벤처기업이라면 5,000만원 ~ 3억원(시기에 따라 달라짐) 한도 내에서 과세특례를 적용받을 수도 있다. 2020년대 들어 여러 차례 조정이 있었기에 국세청 공고나 관련 법령을 확인하는게 안전하다.
● 양도 소득세 VS 근로소득세
스톡옵션 행사 이익을 근로소득으로 볼지, 주식 양도로 볼지가 복잡할 때가 있으니, 세무사와 상담하는걸 권유한다. 행사 시점과 매도 시점 간 거리, 회사 유형(상장/비상장)에 따라 세율이 많이 달라진다.
스톡옵션의 두 가지 핵심 요소
1. 첫 번째는 요소는 행사 가격이다. 이 가격은 직원들이 주식을 사게 될 때의 가격을 의미한다. 보통 회사가 이것을 부여할 때 이 가격을 미리 정하는데 직원들은 주식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과 상관없이 미리 정해진 행사 가격으로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된다.
2. 두 번째 요소는 행사 기간이다. 이 기간 동안만 직원들은 스톡옵션을 행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사가 직원에게 5년 뒤부터 이것을 행사할 수 있는 권리를 준다면, 그 직원은 5년 동안 열심히 일하면서 회사의 성장을 지켜보게 된다. 그리고 5년 뒤에 행사 가격보다 주가가 훨씬 높아졌을 때 이것을 행사해 차익을 얻는 것이 일반적인 패턴이다.
스톡옵션 활용 사례
● 구글의 성공 사례
구글은 초창기 자금이 부족할 때 스톡옵션을 통하여 뛰어난 인재들을 끌어모았다. 당시 구글의 초기 직원들이 이것을 행사하고 억만장자가 된 이야기는 이미 유명하다. 덕분에 많은 직원들이 주식의 가치가 폭발적으로 상승할 때 큰 이익을 얻는다. 이를 통해 구글은 그 누구보다 강력한 인재 풀을 구축할 수 있었고, 그들이 회사의 성장에 직접 기여하게 되었다.
● 애플 아이폰의 성공
애플도 이것을 통해 직원들이 회사의 비전에 깊이 몰입하게 만들었다. 특히 아이폰이 출시된 후 애플의 주가가 급등하면서, 이것을 가진 직원들은 그야말로 금전적으로 엄청난 보상을 받았다. 이처럼 애플은 이것을 통하여 직원들의 사기를 높였고, 그들이 더욱 열심히 일하도록 장려했다.
● 테슬라와 일론 머스크의 전략
테슬라에서는 일론 머스크가 이것을 직원들에게 제공하면서 "회사의 목표를 달성하면 여러분도 이익을 얻을 수 있다"라는 메시지를 강조했다. 테슬라 주가가 꾸준히 상승하자, 많은 직원들이 이것을 행사하며 큰 수익을 얻었고, 이는 다시금 그들이 회사에 대한 충성도와 책임감을 갖게 만들었다.
스톡옵션의 단점
스톡옵션이 항상 성공적인 것은 아니다. 회사가 성장하지 않거나 주가가 오르지 않는다면, 이것은 아무런 가치가 없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받는 입장에서도 회사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잘 따져봐야 한다. 또한 행사 기간 동안 직장을 그만두면 이것을 행사할 기회를 놓칠 수도 있으니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항상 안전 투자하시고 먹튀 걱정없는 해외선물 문의 있으시면
밑에 사진 클릭시 상담 연결 가능합니다.
'경제 상식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숏스퀴즈(Shot Squeeze)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5.04.14 |
---|---|
(경제상식) 엔 캐리 트레이드(En Carry Trade)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4.13 |
(경제용어)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에 대해 알아보자 (3) | 2025.04.09 |
(경제상식) 뮤추얼 펀트(Mutual Fund)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5.04.08 |
(경제용어) GDP 디플레이터(GDP Deflator)에 대해 알아보자 (6)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