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안전해외선물 강실장입니다.
이번 시간은 경제용어 중 하나인 '트레일링 스탑'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트레일링 스탑(Trailing Stop)이란???
이 전략은 주가가 상승할 때 이익을 보호하고, 하락할 떄는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주문
방식이다. 쉽게 말해, 주가가 오르면 손절가도 자동으로 올라가고, 주가가 하락하면 미리
설정한 범위에서 손실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만약 주식을 100,000원에 샀다고 가정했을 떄, 10%의 트레일링 스탑을 설정
하면 주가가 110,000원으로 상승하면 솔절가는 99,000원으로 올라간다. 이렇게 되면
주가가 하락할 경우에도 손해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특히 유용한
전략으로 이 방법을 활용하면 예상치 못한 큰 손실을 피할 수 있다.
작동 방식과 활용방식
트레일링 스탑은 매수자가 미리 설정한 손실한도(트레일링 폭)을 기준으로 작동한다.
가격이 상승할 때마다 손실 한도가 자동으로 상승하여, 투자자가 손실을 입지 않고 수익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 장기 투자 : 장기 투자 시 주가 변동성을 줄이고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할 때 유용하다.
● 스윙 트레이딩 : 단기간의 주가 변동을 이용하여 수익을 추구하는 스윙 트레이딩에서도 효과적으로 활용된다.
● 손실 방지 : 손실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경우 트레일링 스탑을 사용하여 손실 한도를 설정하고 위험을 관리할 수 있다.
트레일링 스탑 활용 시 주의사항
● 적절한 트레일링 폭 설정 : 트레일링 폭은 시장 변동성과 투자목표에 따라 설정해야 한다. 변동성이 큰데 폭이 짧거나 변동성이 짧은데 폭이 크다면 적절한 트레일링 폭을 설정했다고 볼 수 없다.
● 트레일링 스탑을 설정한 후에도 시장상황을 주시하고 필요에 따라 매매 조정을 해야 한다.
● 트레일링 스탑은 모든 상황에서 효과적인 것이 아니기에 투자자가 개입하여 조정할 가능성을 계속 열어두어야 한다.
● 종목 특성이나 당시의 변동성을 비교해보고 투자 목표에 맞는 방식을 선택하도록 한다.
트레일링 스탑의 장점과 단점
● 장점
- 주가 하락 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 주가 상승 시 수익을 확대할 수 있다.
- 매수자가 직접 가격을 확인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손실 한도를 조정할 수 있다.
● 단점
- 주가가 상승세를 유지하더라도 설정한 트레일링 폭에 따라 조기 매도 될 수 있다.
- 시장 변동성이 크면 손실이 발생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항상 안전 투자하시고 먹튀 걱정없는 해외선물 문의 있으시면
밑에 사진 클릭시 상담 연결 가능합니다.
'경제 상식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런웨이(Runway)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4.24 |
---|---|
(경제용어) 콩코드 효과(Concorde Effect)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4.23 |
(경제상식) 파레토의 법칙(Pareto Law)에 대해 알아보자 (4) | 2025.04.21 |
(경제상식) 시드머니(Seed Monay)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4.20 |
(경제용어) 금투세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5.04.19 |